본문 바로가기

사회학

7. 시각 사회학(Visual Sociology)과 디지털 이미지

 디지털 이미지는 20세기 후반에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등장하였습니다. 이전의 사진은 필름과 인화를 통해 물리적인 사진을 얻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소모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더 편리한 이미지 관리를 위해 디지털 이미지가 개발되었다. 

 

 디지털 이미지의 등장으로 사진은 필름이나 인화 과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고, 촬영 즉시 이미지를 확인하고 수정할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저장과 전송이 용이해졌다디지털 이미지는 쉽게 복사하고 공유할 있어 정보의 확산과 공유가 쉽고,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더욱 쉽고 빠르게 이미지를 전송하고 공유할 있게 되었다.

 

 이미지 편집 기능이 발달하여 사진의 색상, 밝기, 명암 등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사진의 완성도와 표현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디지털 이미지는 대용량 저장 장치를 통해 보관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으로 백업하고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디지털 이미지의 등장은 사진을 더욱 편리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있게 하였으며, 사회학자들이 사진을 포함한 시각적 자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 데에 도움받게 된다. 

 

https://youtu.be/Xk2hVWEzseo

 

 디지털 시각 사회학 (Digital Visual Sociology)

 

 디지털 시각화는 사용자에게 이동의 자유와 개인화된 경로 제공하고, 디지털 제품은 많은 이미지를 포함할 있으며, 사용자는 카탈로그 검색 시스템을 통해 이미지를 관리할 있게 되었다. 또한, 이미지는 다른 미디어 형식의 주석과 함께 제공될 있다. 디지털 이미지의 등장은 시각 사회학에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이미지의 생산, 소비, 해석  분배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전환점에 기인하다.  즉, 디지털 기술은 사용자와 이미지 간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시각 사회학은 대상자가 주관적으로 생성한 이미지의 자발적 표현의 결과물로 간주한다. 

 

 디지털 이미지 특징

 

접근성의 증가 :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이미지를 쉽게 만들고, 공유하고, 저장할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공유하는 활동에 참여할 있게 되었다.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 디지털 이미지는 수정과 재구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시각과 해석을 통해 이미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있게 되었다.

 

시각적 상호작용의 확장 : 디지털 이미지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손쉽게 공유될 있으며, 이로 인해 세계의 사용자와의 시각적 상호작용이 확대되었다

 

개인성과 공개성의 경계 모호화 디지털 이미지의 공유는 개인의 사생활과 공개된 정보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고, 이는 이미지의 해석 소비 방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주관적 표현의 강조디지털 기술을 통해 개인들은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이미지에 담아 표현할 있고,  이로 인해 시각 사회학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분석하게 되었다

 

이미지의 해석 분석의 전환 디지털 이미지의 다양성과 복잡성으로 인해, 시각 사회학자들은 이미지의 해석 분석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과 기법을 탐구하게 되었다.

 

디지털 시각화의 잠재력 한계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이미지의 생성, 편집, 공유 저장 방식에 대한 변화를 가져왔고, 디지털 이미지의 유연성과 접근성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표현 방법을 제공하는 잠재력을 가진다. 그러나, 한계 또한 존재한다.  

 

디지털 시각화의 잠재력으로는 자율성,경제성 멀티미디어성이 있다.   

자율성은  사용자는 디지털 시각화를 통해 개인화된 경로와 이동의 자유를 경험하는 것이다.  경제성은 디지털 이미지는 높은 저장 용량과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멀티미디어성은 다양한 미디어 형식과의 통합이 가능하다. 

 

시각 사회학의 전통적인 접근법과 디지털 전환에 따라 디지털 기술은 이미지의 주관적 해석과 표현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방법에 있어 기존 이론과는 다른 새로운 연구 접근법이 필요한데, 근거이론(Grounded Theory ) 접근법이 이미지 해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근거 이론(grounded theory论)은 사회학자 Barney G. Glaser와 Anselm L. Strauss이 실증주의와 상호작용이론을 접목시킨 협동작업으로 출현했다. 전개되는 관찰들을 비교함으로써 이론을 산출하려는 귀납적 접근이며, 관찰을 통해 검증된 가설을 도출하기 위해 이론이 사용되는 가설점증과는 매우 다른 방법이다.

 

디지털 시각화의 한계로는 개인성과 공개성 경계의 모호 및 공유의 확장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족 앨범의 디지털 전환은 개인성과 공개성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은 이미지의 해석과 소비 방식에 새로운 차원을 요구한다. 

 

디지털 환경에서 가족 앨범의 사진들은 쉽게 공유될 있으며, 이로 인해 개인의 사생활과 공개된 정보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질 수 있다. 즉, 디지털 환경에서의 가족 앨범 제작은 전통적인 종이 앨범에서의 경험과는 다르고  사진들은 온라인 상에서 빠르게 편집, 저장, 공유될 있어 개인성과 공개성의 경계의 모호화를 초래한다. 

 

디지털 앨범은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공유를 통해 넓은 대중에게 노출될 있다. 이는 가족의 소속감 영역을 확장시키며 새로운 상호작용의 형태를 만들어낸다. 즉 공유확장에 대한 우려이다. 

 

디지털 이미지의 공유는 개인의 사생활을 대중에게 노출시키는 동시에, 개인이 자신의 이야기와 경험을 공유하고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이미지의 등장은 시각 사회학의 연구 방법론, 주제, 그리고 관점에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변화는 현대 사회에서 이미지의 중요성이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더욱 중요해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