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sual Sociology6

17. 시각 사회학의 교과서 "Visual Sociology" (4) Final Words 열한 번 쨰 챕터의 주제는 "마지막 말 (Final Words)"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챕터에서는 시각적 사회학이 어떻게 사회학의 작은 주석에서 갑자기 주요 관심사로 바뀌게 되었는지에 대한 생각을 마무리하고 있다. 그의 답변은 시각적 접근법이 새롭고 창의적이며 흥미로운 방식으로 사회학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즉, 시각적 접근법은 대부분의 학문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John Grady의 광고와 인종 통합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는 시각적 데이터가 가설을 검증하는 데 다른 데이터 형식만큼 잘, 또는 그보다 더 잘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각적 접근법은 사회학의 대부분의 주제를 다룰 수 있는데, 가족부터 시작하여 기관의 시각적 연구에 대한 긴 장을 쉽게 추가할 수 .. 2023. 8. 21.
16. 시각 사회학의 교과서 "Visual Sociology" (3) Photo Elicitation 여덟 번째 챕터의 주제는 "사진 자극 (Photo Elicitation)"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두 개의 메인 토픽으로 제시되었으며, 이미지를 목적 자체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연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기본 개념은 협업이며, 사람들이 함께 무언가를 배우기 위해 여러 방법 중 하나로 이미지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연구자들이 전통적인 현장 연구 유형의 사진을 찍고 그들이 찍은 사람들과 그 사진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이것을 '사진 자극'이라고 합니다. 다른 경우에는 연구자들이 사람들에게 카메라를 주고 그들의 세계를 사진으로 찍도록 격려한다. 이것을 '포토보이스(Photovoice)'라고 한다. 현재까지 발표된 것을 판단.. 2023. 8. 14.
15. 시각 사회학의 교과서 "Visual Sociology" (2) The Visual Sociology of Space from Above, Inside, and Around 네 번째 챕터의 주제는 "위, 안, 주변의 공간에 대한 시각적 사회학 (The Visual Sociology of Space from Above, Inside, and Around)"이고,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챕터에서는 시각적 접근법이 특히 잘 작동하는 사회학 분야를 다룬다. 현재의 시각적 사회학의 상태를 소개하며, 예제들을 통해 시각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어떻게 새로운 발견과 통찰력을 이끌어내는지 보여준다. 즉, 사회학의 모든 주제가 시각적 차원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예외는 많지 않다. 반면에 시각적 접근법을 사용하면 다른 방법으로는 연구할 수 없는 주제, 주제들, 그리고 영역.. 2023. 8. 13.
3. 시각 사회학(Visual Sociology)과 회화 시각 사회학과 회화는 모두 시각적인 요소에 초점을 둔 학문이지만 각각의 접근방식이나 목표가 다르다. 시각 사회학이 회화에 비해 늦게 연구된 학문 이지만 어쩌면 회화의 시초부터 관련성을 두고 상호 보완적 성격을 품고있는 숙명적 관계라고 본다. 왜냐하면, 회화는 인간의 역사와 함께 오래된 예술 형태 중 하나로, 그림, 그래픽, 스케치 등의 시각적 매체를 사용하여 현실이나 상상 속의 이미지를 창작하는 예술적인 표현이므로 시각 사회학적 요소와 연구 대상이 내표되어 있기 떄문이다. 회화는 역사적으로 크게 세 가지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고대 회화는 인류의 초기 역사로 거슬러 올라가서, 석기시대의 동굴벽화부터 다양한 문화와 문명에서 발견된 고대 회화 작품들은 인간의 삶, 사물, 자연 등을 그려 현실을 기록하거나 신.. 2023. 7. 28.
2. 시각 사회학(Visual Sociology)의 시간적 흐름 시각 사회학은 인류시대의 발전과 함께 진화해 온 사회학의 한 분야이다. 시각 사회학의 등장 및 개념연구는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에 연구된 사회학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하지만 시각 사회학 형성의 본질은 인류가 탄생하고 사회구성과 언어 및 문화생활을 시작할 때부터 이미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류가 시각적 기호와 회화를 통하여 사회적 현상과 의미들을 반영한다는 관점은 시각적인 표현이 사회와 문화의 변화에 조화를 나타낸다는 것에 기반한다. 즉, 인류가 발전하면서 산업혁명 이전의 시각적 기호와 회화는 인간의 감성적, 이성적 상상 들을 시각적으로나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표현들은 시대적 상황과 문화적 영향을 받게 된다. 산업혁명 이전 시대의 시각적 사회상 시각 사회학의 근간은 인간의.. 2023. 7. 26.
1. 시각 사회학(Visual Sociology)을 말하다. 인간은 눈으로 무엇인가를 볼 수 있다. '본다'는 것은 어떠한 형체의 모습을 본다는 것이고, 인류는 사회생활을 통하여 배우고 학습하며 우리가 보는 대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평가를 하게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주관적이고 객관적 의견과 이견이 공존하며 같은 대상과 형체를 보지만 결과는 서로 다른 결과 또는 왜곡되어 보이기도 한다. 또한 어떠한 그림과 이미지 등과는 인간 또는 특정대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영향을 받기도 하고 한다. 그러한 현상은 '본다'는 생리적인 현상을 넘어 사회적인고 역사적인 복잡한 메커니즘 속에서 발현되기도 한다. 즉, 사회, 역사, 과학의 학문의 경계를 넘어서는 복잡한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복잡한 결과물의 산물인 것이다. 이러한 복잡계의 현상을 시각 사회학(Visual Soci.. 2023.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