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다'는 것에 대한 의미
우리가 어떠한 대상을 본다는 것은 단순하게 보면, 우리의 시지각을 통하여 우리의 뇌에서 인식되는 생물학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형이상학적 접근을 해본다면, 대상 세계에 대한 우리의 시자각 자체가 이미 우리에게 생물학적 현상에 앞선 어떠한 사회적으로 주어진 어떤 그림 또는 이미지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시작 자체는 자연스럽고 생리적인 것에 머무르는 게 아니라 지극히 사회적이고 역사적이라고 할 수 있다.
라캉(Jacques Lacan,1901-1981)과 제임스 깁슨(James Gibson,1904-1979)은 서로 다른 학문 분야의 학자로서 각각의 시각 사회학적 관점과 견해를 가지고 있다.
라캉은 프랑스 정신 분석학자로서, 시각과 관련하여 '시선'의 개념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그는 시각적 경험과 현실 사이의 분리를 주장하였으며, 시각장(the visual field)내에서 이 분리가 재현된다고 설명했다.
라캉의 시각은 현실의 경험과 시각적 경험 사이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하며, 동시에 현실에 대한 비환원성의 원소로서의 시선을 포함한다.
제임스 깁슨는 미국의 심리학자로 시각 인식 분야의 중요한 연구자이며, 생태학적 시각 인식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는 시각 인식이 단순히 뇌에서의 정보 처리 과정이 아니라, 개체와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했으며, 그의 연구는 시각 인식의 생태학적 접근 방식을 중심으로 하였다.
라캉의 '거울자아'
'거울자아'는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 Jacques Lacan이 제시한 개념으로, 주체가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중요하게 반영한다는 이론이다. 라캉은 이 개념을 1936년에 처음으로 발표하였고, 주로 발단적 심리학과 정신분석학 영역에서 이용되며, 이후 라캉의 주요 이론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라캉의 거울자아 개념은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거울자아의 형성: 라캉은 아기가 어머니의 품에서 태어나서부터 주변의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인식하게 되는 과정에서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중요하게 인식한다고 주장한다. 이때 거울에 비친 모습은 실제 자기 자신이 아니라 투영된 모습이지만, 아기는 그 모습을 자기 자신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외부세계와의 대조: 거울에 비친 모습은 아기가 자신과 외부세계와의 구분을 시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라캉은 이러한 거울상에서의 모습이 아기의 자아(ego)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치며, 자아는 자기 자신과 타자와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완전한 자아의 상실: 라캉은 거울자아 이후로 완전한 자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완전한 자아는 언어와 사회적인 구조에 의해 항상 불완전하고 부족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자아는 계속해서 언어와 사회의 영향을 받으며 형성되는 과정에서 불안정하고 불완전한 존재로 남게 된다.
시각 사회학 측면에서 '거울자아' 개념은 시각적 기호와 회화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은 자신의 정체성과 인식을 시각적으로 형성하고 인지하는 데 있어서 시각적 기호와 회화가 큰 역할을 하게 되고, 시각적 기호는 주체의 자아 정체성과 자아 인식에 영향을 주며, 시각적인 표현을 통해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그 자아를 스스로 반영하게 된다.
또한, 시각 사회학적 의미에서 '거울자아'는 매체의 중요성과 강력함을 강조한다. 사진, 비디오, 영화, 그래픽 등 시각적인 매체를 통해 사회적 현상과 문제, 정치적 상황 등이 보다 강력하게 표현되고 이해되며, 대중들과의 소통과 공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시각적 표현은 사회적 메시지 전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변화와 혁신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시각 사회학에서는 '거울자아' 개념을 통해 매체의 힘과 영향력을 탐구하고, 사회적 현상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주목하게 된다.
제임스 깁슨의 '시각 세계(The visual world)와 시각장(The visual field) '
제임스 깁슨(James Gibson)은 시각 인식 분야의 중요한 기여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연구와 이론은 시각 세계와 시각장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시각 세계와 시각장: 깁슨은 시각 세계와 시각장에 대한 이해를 깊게 연구했다. 그는 시각 세계가 우리가 인식하는 환경의 시각적 표현이며, 시각장은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의 패턴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직접적인 시각 인식의 이론: 깁슨은 시각 인식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 방식을 제안했다. 그는 우리가 환경을 인식하는 방식이 단순한 빛의 패턴이나 시각적 자극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했다.
생태학적 시각 인식: 깁슨은 시각 인식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그는 인식이 단순히 뇌에서의 정보 처리 과정이 아니라, 개체와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깁슨의 연구는 생태학적 시각 인식의 기초를 형성하게 되었다.
The Perception of the Visual World: 깁슨은 "The Perception of the Visual World"라는 책을 저술했다. 이 책에서는 시각 인식의 다양한 측면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제임스 깁슨의 연구와 이론은 시각 인식 분야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의 작품은 여전히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두 학자는 각각의 분야에서 시각에 대한 독특한 관점과 이론을 제시하였다. 라캉은 시각과 시선, 그리고 그것이 현실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제공하였으며, 깁슨은 시각 인식의 생태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시각 인식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였다.
'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시각 사회학 측면으로 바라본 '인증샷' (1) (0) | 2023.08.05 |
---|---|
9. 시각 사회학 연구의 선구자들 (0) | 2023.08.02 |
7. 시각 사회학(Visual Sociology)과 디지털 이미지 (0) | 2023.07.30 |
6. 시각 사회학(Visual Sociology)과 사진 데이터 (0) | 2023.07.30 |
5. 시각 사회학(Visual Socilogy)과 사진기의 등장 (0) | 202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