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 12. 시각 사회학 측면으로 바라본 '인증샷' (3) 최근 '인증샷'관련 비즈니스 모텔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다. 시각 사회학적 관점에서 사회, 문화적 심리를 반영하고, 스마트 폰의 사진이미지를 활용한 비즈니즈 관련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마케팅 수단 SNS 인증샷을 SNS 기반의 마케팅 수단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기존에 기업에서는 인증샷 마케팅을 이벤트 형태로 진행하고 있으나, 좀더 체계화하여 기업마케팅에 적극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연예인, 유명인, SNS 스타 등의 기존 소셜 인플루언서 위주로 인증샷을 통한 마케팅이 전개되었다면, 일반의 유튜브의 1인 크리에이터 및 SNS 인증샷 사용자도 이미지 기반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직접 유통하고 소비하는 마케팅 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z세대는 문자보다 스마트폰속의 어린이 .. 2023. 8. 7. 11. 시각 사회학 측면으로 바라본 '인증샷' (2) 인증샷의 속성 - 나르시시즘 자기애를 갖은 사람들은 사람들의 관심과 칭찬을 갈망하고 그들의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의 감탄과 관심의 원천을 찾는다. SNS는SNS 사용자들이 느슨한 ‘Weak tie’를 많이 연결함으로써 관계적 이익을 얻을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에 나르시시스트들이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이상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온라인 관계는 나르시시스트에게 좋은 공간이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대면 관계와 우정 등 감정적 투자가 필요한 깊고 'Strong tie’를 형성할 수 없거나 형성하기를 꺼려한다. 나르시시스트들은 그들의 거창함을 확인하고 그들의 게시물과 트윗을 위해 많은 온라인 청중을 만들 것이기 때문에 자랑스럽게 많은 수의 SNS 친구들을 얘기하고,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SN.. 2023. 8. 5. 10. 시각 사회학 측면으로 바라본 '인증샷' (1) SNS의 진화 IT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용자들은 보다 편리한 삶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었고,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대중적인 확산 및 이를 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의 사용은 나이, 지역 및 성별과 관계없이 인식, 정보 등의 파급력을 확장시켰다. 이처럼 스마트단말기와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하드웨어 기반뿐만 아니라 표현 형식과 내용 등 콘텐츠와 관련하여 새로운 변화가 모색되고 있다. 무엇보다 스마트 IT 환경에서는 미디어와 콘텐츠와 플랫폼, 네트워크 간 통일성이 사라지고, 플랫폼은 “네트워크 기반에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다양한 물리적 수단으로 분리되어 가고 있다.” 변화된 환경 속 분리된 플랫폼들은 콘텐츠와 이용자 간에 접점을 두고 .. 2023. 8. 5. 9. 시각 사회학 연구의 선구자들 시각 사회학의 등장 및 개념연구는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에 연구된 사회학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발전의 배경과 상황은 앞에서 언급하였고, 이러한 시각 사회학을 사회학에서 별도의 학문으로 발전시키는데 역할을 해온 학자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시각적 관점에서의 형이상학적 연구를 한, 라캉과 제임스 깁슨 이후 시각 사회학의 연구를 발전시킨 학자들을 소개한다. Douglas Harper Douglas Harper는 시각 사회학 분야에서 중요한 인물로, 뉴욕 주립대학교 Potsdam에서 사회학 부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는 국제 시각 사회학 협회 (International Visual Sociology Association, IVSA)의 창립을 주도한 창립멤버이자 그 협회의 저널인 ''Visual Sociolo.. 2023. 8. 2. 8. 시각 사회학의 철학적 접근 '본다'는 것에 대한 의미 우리가 어떠한 대상을 본다는 것은 단순하게 보면, 우리의 시지각을 통하여 우리의 뇌에서 인식되는 생물학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형이상학적 접근을 해본다면, 대상 세계에 대한 우리의 시자각 자체가 이미 우리에게 생물학적 현상에 앞선 어떠한 사회적으로 주어진 어떤 그림 또는 이미지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시작 자체는 자연스럽고 생리적인 것에 머무르는 게 아니라 지극히 사회적이고 역사적이라고 할 수 있다. 라캉(Jacques Lacan,1901-1981)과 제임스 깁슨(James Gibson,1904-1979)은 서로 다른 학문 분야의 학자로서 각각의 시각 사회학적 관점과 견해를 가지고 있다. 라캉은 프랑스 정신 분석학자로서, 시각과 관련하여.. 2023. 8. 1. 7. 시각 사회학(Visual Sociology)과 디지털 이미지 디지털 이미지는 20세기 후반에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등장하였습니다. 이전의 사진은 필름과 인화를 통해 물리적인 사진을 얻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소모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더 편리한 이미지 관리를 위해 디지털 이미지가 개발되었다. 디지털 이미지의 등장으로 사진은 필름이나 인화 과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고, 촬영 즉시 이미지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저장과 전송이 용이해졌다. 디지털 이미지는 더 쉽게 복사하고 공유할 수 있어 정보의 확산과 공유가 쉽고,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더욱 쉽고 빠르게 이미지를 전송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미지 편집 기능이 발달하여 사진의 색상, 밝기, 명암 등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사진의 완성도와.. 2023. 7. 30.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