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

15. 시각 사회학의 교과서 "Visual Sociology" (2)

 

The Visual Sociology of Space from Above, Inside, and Around

 

네 번째 챕터의 주제는 ", , 주변의 공간에 대한 시각적 사회학 (The Visual Sociology of Space from Above, Inside, and Around)"이고,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챕터에서는 시각적 접근법이 특히 잘 작동하는 사회학 분야를 다룬다. 현재의 시각적 사회학의 상태를 소개하며, 예제들을 통해 시각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어떻게 새로운 발견과 통찰력을 이끌어내는지 보여준다. 즉, 사회학의 모든 주제가 시각적 차원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예외는 많지 않다. 반면에 시각적 접근법을 사용하면 다른 방법으로는 연구할 수 없는 주제, 주제들, 그리고 영역을 연구할 수 있게 된다. 

 

Jon Wagner에 의한 초기 에세이 모음에서 시각적 사회학을 정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 볼륨에 기여한 사람들 중에는 세 명의 사회학자, 두 명의 인류학자, 두 명의 건축가,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그리고 미술 및 천연 자원 분야의 다른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다전통적인 사회학자들이 설득력 있는 주장들을 했으며, 이미지 (주로 사진)를 통해 연구자들이 새롭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오래된 주제를 연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Clarice Stasz는 사회학의 역사를 조사하여 20세기 초기에 사진이 흔했지만, 사회학이 1930년대 초에 "숫자만"의 방향성을 채택하면서 사진이 포기되었다고 지적했다. 사진 연구 프로젝트에서의 윤리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우리가 그곳에 있기 때문에 사회학자들이 현장 연구에서 사진을 찍을 윤리적 권리가 있는지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였다포토저널리스트와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은 모든 것을 사진으로 찍을 권리가 있다고 가정하며, 항상 그렇게 작업했는데, 윤리적(?) 지침에 의한 작업인가를 문제제기 했다. 

 

Jon Wagner의 기여는 사진이 학습된 내용을 전달하는 수단으로만 사용되지 않고 연구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챕터는 현대 시각적 사회학의 개요를 시작으로, 공간의 사회학적 연구와 관련하여 시각적 도구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14. Visual Sociology14. Visual Sociology

 

Comparing societies

 

다섯 번째 챕터의 주제는 "사회 비교 (Comparing Societies)"에 관한 것이며, 이 챕터에서는 물질 문화에서 사회 변화와 시각적 비교 방법에 대한 시각적 연구로 전환한다. 사회학에서의 많은 기본적인 아이디어들, 예를 들면 Marx의 방언적 물질주의 이론과 같은 것들은 시각적 비유로 변화를 설명한다. 

 

Marx의 핵심 아이디어는 새로운 형태로 분해되고 재구성되는 일련의 사회들의 순서(연대기)이다. 사회학자들이 그것에 대해 많이 생각하더라도 변화와 비교의 상상은 항상 부분적으로 시각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영국의 Lake District를 방문하면서 1830년대의 현지 박물관에 보존된 물바퀴에 감동을 받았고 이것은 내연 기관 엔진이 대체되기 전 산업 혁명의 기원을 시각적으로 요약한 것이었다. 이후 "Corpse Road"라는 길에서 우리는 고대 마을의 교회 묘지와 돌 울타리, 그리고 그 울타리 안에서 중첩된 무덤을 발견하였다이러한 모든 것들은 한 단계의 역사적 흔적이며, 암시적으로 다른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이 챕터는 과거와 현재의 사회를 시각적으로 비교하고, 시간과 공간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구한다.  

 

 

Ethnomethodology, Semiotics, and the Subjective  

 

여섯 번째 챕터의 주제는 "인류학방법론, 기호학, 그리고 주관성 (Ethnomethodology, Semiotics, and the Subjective)"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전통적인 사회 과학에서 시각적 접근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미지보다는 사진에 중점을 둔 것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이 챕터에서는 관점을 확장한다. '

 

먼저 많은 사회학자들에게 여전히 상당히 신선한 인류학방법론에 대해 논의하며, 사진, 영화, 비디오가 흥미로운 형태의 경험론을 대표하기 때문에 유용하다고 하였다. 이어서 기호학과 시각적 사회학 간의 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이는 이 볼륨에서 논의된 많은 아이디어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회학은 감정을 그룹 생활의 일부로, 그리고 최근에는 자기 인류학 (자전 + 인류학)의 측면으로 주관성을 접근하였고, 감정, 감정 반응, 그리고 조건에 기반한 예술 사진이 일부 시각적 사회학에서 나타나는 감정 연구와 평행하다고 제안하였다. 

 

'인류학방법론'은 사회 세계에서 의미 형성에 관한 연구이며, 따라서 이것은 데이터를 위한 세계의 원재료로 활용됩니다. 대화 분석의 형태의 '인류학방법론'은 평범한 대화에서 사람들이 사회적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탐구한다. 

 

이 챕터는 사회적 상황에서 의미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시각적 사회학에서 어떻게 의미를 형성하고 표현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과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다.  

 

 

Multimedia and Visual Sociology

 

일곱 번째 챕터의 주제는 "멀티미디어와 시각적 사회학 (Multimedia and Visual Sociology)"이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국 공영라디오 방송 NPR 스토리에서 28세의 예멘 출신 여성인 Amira Al-Sharif Kickstarter를 통해 미국에서 그녀의 나이대의 여성들을 사진으로 찍기 위한 자금을 확보했다. 이는 문화를 초월하여 , 미국인들이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녀의 사진들은 리포트에서 잘 설명되었으며, NPR 웹사이트에서 그 사진들을 볼 수 있다. 사이트에는 예멘의 베일을 쓴 여성들과 뉴욕의 비공식적이며 섹시한 20대 여성들이 대비되는 여덟 장의 사진이 있다.

 

이것은  21세기의 이미지의 특성이며, 그들은 세계 여러 나라의 자국의 사회적 영향과 시대적, 문화적 상황을 예상할 수 있다. 이미지가 만들어진 예전 방식, 즉 아날로그는 반영구적인 흔적을 생성한다. 

 

이러한 트렌드에도 불구하고, 아날로그 기술은 이제 대부분 디지털 기술로 대체되었으며, 구식 필름 카메라를 흉내 내는 몇 천 달러짜리 카메라에서부터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다니는 사진 제작 휴대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이 챕터는 21세기의 이미지와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시각적 사회학이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하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