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

3. 시각 사회학(Visual Sociology)과 회화

 시각 사회학과 회화는 모두 시각적인 요소에 초점을 둔 학문이지만 각각의 접근방식이나 목표가 다르다. 시각 사회학이 회화에 비해  늦게 연구된 학문 이지만  어쩌면 회화의 시초부터 관련성을 두고 상호 보완적 성격을 품고있는 숙명적 관계라고 본다. 왜냐하면, 회화는 인간의 역사와 함께 오래된 예술 형태 중 하나로, 그림, 그래픽, 스케치 등의 시각적 매체를 사용하여 현실이나 상상 속의 이미지를 창작하는 예술적인 표현이므로 시각 사회학적 요소와 연구 대상이 내표되어 있기 떄문이다. 회화는 역사적으로 크게 세 가지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고대 회화는 인류의 초기 역사로 거슬러 올라가서, 석기시대의 동굴벽화부터 다양한 문화와 문명에서 발견된 고대 회화 작품들은 인간의 삶, 사물, 자연 등을 그려 현실을 기록하거나 신화, 종교, 예술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고대 회화는 동굴벽화, 부조 등 다양한 형태로 발견되며, 고대 그리스의 베스테보예(Bestebouve) 등과 같은 작품들이 유명하다.

 중세 회화는 기독교가 유럽에서 번성하면서 기독교적인 주제로 그려진 회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중세 회화는 종교적인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기법과 스타일을 사용하여 그려졌으며, 교회나 대성당 내부의 벽화나 스테인드글라스 창 등에서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 라파엘, 미켈란젤로 등의 작품이 이 시기의 대표적인 회화로 꼽힌다. 

 

 현대 회화는 19세기 이후 미술의 발전과 함께 크게 발전하였는데, 사진의 등장과 영향력이 커지면서 현실적인 표현보다는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시각을 강조하는 추상화 회화가 더욱 발전하였다. 특히 20세기에는 고호, 피카소 등과 같은 현대 예술가들의 작품들이 큰 주목을 받으며 다양한 양식과 스타일이 형성되었다. 현대 회화는 예술가들의 개성과 감정, 사회적 이슈 등을 표현하는데 매체적 자유를 갖게 되었다. 특히, 현대 회화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컴퓨터 그래픽 아트, 디지털 그림 등의 새로운 형태로도 발전하였고, 현대 미술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전통적인 수단과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고 새로운 표현 방법을 모색하며 발전해 가고 있다.

 

 

시각 사회학적 회화의 괸점   

 

 사회학은 시각적인 자료를 통해 사회적 현상을 더욱 생생하게 보여주고, 사회적 이슈를 더욱 강력하게 전달할 수 있고, 사회적 현상을 더욱 객관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성적인 연구 결과와 보완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회화의 목적은 예술적인 가치를 지닌 작품을 창작하고, 작가의 감정과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따라서 시각 사회학에 비해 회화는 예술적인 표현이므로 주로 작가의 주관과 감정에 따라 그림이 창작되며, 사회적 현상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것보다는 주관적인 시각을 통해 감정과 아이디어를 표현하는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회화는 시각 사회학의 목적과 방식과는 조금 다른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회화 또한주관적이기는 하나 그 시대의 각조 사회 현상을 표현하는 도구로서 시각 사회학과 연관성을 갖는다. 

 시각적 기호와 회화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문화와 사회적 환경을 반영한다. 문화는 언어, 전통, 신념, 가치관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문화적 요소들이 시각적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문화에서는 특정한 색상이 행복과 화합을 상징할 수 있고, 다른 문화에서는 그 색상이 슬픔과 악을 상징할 수도 있다. 이렇게 문화적 차이는 시각적인 기호와 회화에서 그림의 의미를 다르게 해석하게 된다. .

 회화는 사회적 이슈와 정치적 상황을 표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작가나 화가들은 자신의 시대에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과 문제, 정치적 상황 등을 자신의 작품에 반영하여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러한 작품들은 그 시대의 사회적 분위기와 시대 정신을 잘 포착한 것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회화는 문화적 상징과 신화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특정한 기호나 그림은 특정 문화나 그룹에서만 의미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징들은 그 문화의 가치와 역사를 대변하고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인종, 종교, 민족 등의 상징은 해당 문화나 그룹의 정체성과 신념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회화는 개인의 경험과 감정을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 인간은 언어로 모든 것을 표현하기 어려운 복잡한 감정이나 경험을 그림을 통해 나타내기도 한다.이러한 시각적 표현은 다른 사람들과 감정과 경험을 공유하고 소통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마직막으로 ,시각적 기호와 회화는 사회적 변화와 혁신을 반영하는데 사용된다.  예술가들은 새로운 기술이나 사회적 흐름에 영감을 받아 새로운 형식의 그림을 그리고,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안들을 다루기도 하며, 이러한 창의적인 시각적 표현은 사회적 혁신과 발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시각 사회학과 회화는 상호 보완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회화를 통해 작가가 사회적 현상이나 문제를 주관적인 시각으로 표현하고, 이를 시각 사회학적인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회화를 통해 사회적 현상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 이를 시각 사회학의 연구에 활용하여 사회적 현상을 더욱 다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회화를 통해 특정 사회적 이슈를 시각화하고, 이를 시각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보다 풍부하고 다층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상호 관계를 통해 회화와 시각 사회학은 서로를 보완하고, 사회적 현상을 다양한 차원에서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풍부한 연구대상을 제공하는것이다.